반응형

임신하고 가장 많이 검색하게 되는게 임신 출산 지원입니다. 알아서 잘챙기게 되면 기분좋고, 못받게 되면 억울하죠? 하지만 지원도 다양하고 종류도 많아서 임신 출산 지원을 모두 받는 일이 생각 보다 어렵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임신 출산 지원에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2022년 임신바우처 

지원 금액 : 단태아 100만, 다태아 140만, 분만취약자 +20만!
기간 : 출산일 이후 2년이내
방법 : 국민행복카드 발급 후 바우처 신청
내용 : 모든 진료비 및 약 구입비 등 ( 2022년부터 산부인과 외 병원 가능)

 

✔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

지원금액 : 연 48만원 상당의 친환경 농수산 꾸러미 공급 (지원금 80%, 자부담20%)
내용 : 월 4회 한도, 1회당 3~10만원 상당 주문이 가능
대상 : 임신중이거나 21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


✔ 보건소 임산부 등록 (정부24 맘편한 임신 서비스)

무료 임신 초기 검사, 엽산 3개월, 임산부 주차증 발급, 임산부 뱃지, 마스크 등등 
16주 이후 철분제, 유축기 대여( 지역마다 조금씩 다름) 

✔ 임산부 영양 플러스

대상 : 중위소득 80% 이하 해당하는 출산 가정,  64개월 미만의 영유아 임산부, 출산부, 수유부
중위소득 80% 이하 : 22년 건강보험료 기준 4인가족 144,572원,  3인가족 118,045원 (맞벌이인 경우 건강보험료가 낮은 사람의 것을 50% 합산)
기간 : 6개월 간 지원 
신청 : 보건소에 전화신청 후 직접 방문 
필요서류 :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임산부일 경우 산모수첩, 건강보험 자격 확인서, 가족관계증명서 
특이사항 : 임산부 꾸러미와 중복지원 안됨

✔ 자동차 보험료 임산부 할인

내용 : 임신 확인증에 나와있는 일자부터 할인 가능 , 7% 할인 환급
필요서류 : 임신확인서 ( 남편명의 시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등본)

✔ KTX 서비스

내용 : 임산부 KTX 이용시 일반실 가격으로 특실 이용 가능, 임산부와 같이 탑승시 보호자 1명 가능
기간 : 출산 이후 1년까지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정부24) 또는 방문 신청

 

✔ 임신기 단축근무 

대상 : 근로자인 임산부 
내용 : 12주 이내, 36주 이후 임산부에게 1일 근로시간 2시간씩 단축 근무 가능 ( 임금삭감 X)  , 유연근무 허용.
신청 : 단축하고자 하는날 3일전

 


✔ 태아검진 휴가, 임산부 영유아 미숙아 등의 건강관리

대상 : 근로자인 임산부 및 출산 후 영유아 미숙아 건강관리
내용 : 태아검진 시간 허용 해줘야 함 
- 임산부 : 임신 28주까지 4주마다 1회 가능 / 임신 29주에서 36주까지 2주마다 1회 가능 / 임신 37주 이후 1주마다 1회 가능 / 고위험 산모는 규정된 횟수 외에 사용 가능
- 신생아 : 수시
- 영유아 : 출생후 1년 이내 : 1개월마다 1회 가능 / 출생후 1년 초과  5년 이내 : 6개월마다 1회 가능
- 미숙아 : 분만의료기관 퇴원후 7일 이내 1회 가능
모르는 사람이 많아서 보통 개인 연차 사용하는데 태아검진 휴가를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출산전후휴가 (출산휴가)

대상 :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내용 :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에게 90일 ( 다태아 120일) 보호 휴가 지원 
급여 
- 우선지원대상기업 : 60일 정부에서 200만 + 사업주 통상임금 차액분 지급  / 30일 정부에서 통상임금 지급 (최대 200만)
- 대기업 : 60일 사업주가 통상임금 지급 / 30일 정부가 통상임금 지급 (최대 200만) 
특이사항 : 출산 후 45일 ( 다태아 60일 ) 이상 확보 되어야 함

 

2022년 출산 시 혜택 


✔ 첫만남 이용권

대상 및 지원금액 : 2022년 1월 이후 출생 200만원 일시 지급 ( 쌍둥이 400만, 세쌍둥이 600만) , 22년 4월 1일부터 지급 예정
내용 :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되며 유흥업소, 사행업소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사용 가능
신청방법 : 정부24, 복지로 온라인 신청 또는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기간 :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가능, 사용하지 않을 시 소멸


✔ 영아수당

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부터 생후 23개월까지
지원금액 : 월 30만원 
지급방식 : 가정보육시 현금,  어린이집 이용시 보육료 바우처
신청방법 : 복지로, 정부24 온라인 신청 또는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아동수당

대상 : 0개월 ~ 만 8세 미만
지급금액 : 월 10만원 
지급방식 : 현금 입금
지급시기 : 매달 25일 지급 
신청방법 : 복지로, 정부24 온라인 신청 또는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양육수당

대상 : 24개월 ~ 86개월 미만 
지급금액 : 월 10만원 ( 단, 영아수당과 양육수당은 중복 안됨)

영아수당, 아동수당, 양육수당 결론! 
*** 0개월~ 23개월 : 영아수당 월 30만 + 아동수당 월 10만 = 40만 
*** 24개월 ~ 86개월  : 양육수당 월 10만 + 아동수당 월 10만 = 20만
*** 86개월 ~ 95개월 : 아동수당 10만 = 10만 


 ✔ 출산가구 전기요금 할인

대상 : 출생일로부터 3세 미만 영아가 1인 이상 포함 된 가구 
지원금액 : 월 전기요금의 30% 할인 ( 최대한도 16,000원 )
지원기간 : 출생일부터 3년이 되는 날이 속한 월분 까지
신청방법 : 온라인 한국전력 사이버지점 신청 또는 한전 관할지사, 동사무소 신청 또는 고객센터 (123번)
특이사항 : 기간내에 이사 갈 시 새로 신청 해야 함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산후도우미 바우처)

대상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인 출산가정 
신청기간 : 출산예정일 40일 전~ 출산일로부터 30일 
신청방법 :  온라인 복지로 신청 또는 관할 보건소 방문

 

✔ 육아휴직 

신청대상 :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근로자가 양육시 신청 가능, 한자녀당 부모 각각 1년 가능
휴직기간 : 최소 30일 이상 최대 1년간 ( 사업주는 임금 지급 의무 없음 ) 
육아휴직급여 : 통상임금의 80% ( 상한 150만 / 하한 70만 )  단. 75% 지급, 복직 후 6개월 계속 근무 시에만  25% 일괄 지급 
* 상한 150만원 = 112만 5천원 (75%)  + 37만 5천원 (25%)  
특이사항 : 21년 11월 부터 임신중인 직장인 여성도 육아휴직 사용 가능 

 

✔ 수원출산지원금

지급대상 : 둘째 자녀 이상 출산가정 + 주민등록상 수원시 180일 이상 거주한 가정 
지원내용 : 둘째 50만, 셋쨰 200만, 넷째 500만, 다섯째이상 1,000만 
특이사항 : 첫째는 해당사항 없음

 

✔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지급대상 : 경기도 거주 출산 가정
지원내용 : 지역화폐로 50만원 
신청방법 : 출생신고 후 온라인 신청 또는 오프라인시 출생 등록한 관할 주민센터에서만 가능
사용처 : 발행 지역에 상관없이 지역화폐 사용 가능, 온라인몰 사용 불가능

✔ 내 생애 첫 도서관 

지원대상 : 임신 이후 자녀 12개월까지
지원내용 : 임산부와 영유아에게 거주하는 시 공공 도서관의 소장도서를 집으로 택배로 보내줌 (월 2회 가능)
특이사항 : 최대 5권 대출 가능, 대출기간은 14일

 

✔ 수원시 장난감 도서관

지원대상 : 수원시 거주 만 5세 이하 아동
지원내용 : 장난감 무료 대여 및 놀이실 이용, ( 보호자 동행 필수 ) , 48개월 이하는 프로그램 참여 가능 ( 보호자 동행 필수 )
특이사항 : 연회비 만원 / 연회비 면제에 해당하는 면제회원도 있음 

'헬스 & 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뱃살 제거에 좋은 음식  (2) 2022.05.05
홍현희 다이어트  (0) 2022.05.04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